티스토리 뷰
목차
🎁 최대 월 70만 원 납입·정부기여금 최대 3.3만 원 +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2025년 7월, 병역 이행자도 연령 계산서 제외되어 지금 신청하면 목돈 준비 가능합니다.
병역 이행 기간은 연령 계산서 6년까지 제외됩니다.
신청기간 놓치면 다음달까지 대기해야 합니다.
1) 2025 7월 청년도약계좌 병역 이행자
2025년 7월 기준,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은 만 19세~34세 청년입니다.
단, 병역 이행자는 최장 6년까지 연령에서 제외되므로 만약 34세인 경우에도 병역 기간만큼 추가 가입이 가능합니다.
예컨대, 28세에 병역복무 3년을 마쳤다면 31세로 환산돼 가입할 수 있어요.
이 계좌는 개인소득 기준(총 급여 7,500만 원 이하)과 가구소득 중위소득 250% 이하 요건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2) 2025 7월 신청기간 놓치면



2025년 6월 신청은 6월 2일~13일, 계좌 개설은 6월 19일~7월 11일이었어요.
공식 공지에 따르면 7월은 7월 1일~11일 신청, 개설은 7월 17일~8월 8일이 유력하며,
기간을 놓치면 계좌 개설이 다음 차수로 밀리면서 목돈 형성 지연과 정부기여금 손실(연 최대 ≈39만 원) 가능성이 있습니다.
3)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도 신청 가능?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로 바로 이어 납입이 가능합니다.
병역 이행자이면서 소득·가구 기준을 충족한다면 기존 적금 가입 여부와 무관하게 추가 가입 할 수 있어요.
단, 만기월 다음 달까지 신청해야 하며, 이를 놓치면 일반 차수로 넘어가게 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 병역 이행자·소득 제한 충족하면
매달 정부기여금 + 이자 비과세까지 “득템” 가능합니다.
🎁 혜택 분석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 가능하며, 정부가 개인소득 구간에 따라 월 최대 33,000원, 연 최대 396,000원까지 기여합니다. 예컨대 5년이면 약 1,980,000원 기여금 수령 가능하며, 이자는 비과세입니다.
소득 구간 |
월 기여금 |
연 환산 |
5년 총액 |
---|---|---|---|
≤2,400만 원 | 33,000원 | 396,000원 | 1,980,000원 |
2,400~3,600만 원 | 29,000원 | 348,000원 | 1,740,000원 |
3,600~4,800만 원 | 25,000원 | 300,000원 | 1,500,000원 |
4,800~6,000만 원 | 23,000원 | 276,000원 | 1,380,000원 |
⚠️ 주의사항
만기 전 중도해지 시 기여금은 전액 환수될 수 있습니다. 다만 2025년 개편으로 3년 이상 유지 시 기여금 60%는 환수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3년 유지하면 월 기준 최대 19,800원까지는 돌려받을 수 있어요.
계좌는 1인 1 계좌만 가능하며, 압류·가압류 설정 시 원금·이자 지급이 제한됩니다. 이자 비과세 혜택은 **만기 유지 시에만 적용**되므로, 중도 해지는 피해야 합니다.
📊 조건 비교표 / 타 서비스 비교
비교 항목 |
청년도약계좌 |
청년희망적금 |
기타 청년 상품 |
---|---|---|---|
지원 기간 | 5년 | 2년 | 보통 1~3년 |
기여금 | 월 최대 33,000원 | 월 최대 30,000원 | 상품별 상이 |
이자 비과세 | 있음 | 있음 | 상품별 상이 |
연령 계산 기준 | 병역 제외 가능 | 병역 제외 불가 | 보통 계산 포함 |
A. 원칙적으로 만 34세까지지만, 병역 이행자는 최대 6년까지 연령에서 제외되어 추가 가입할 수 있습니다.
A. 만기 전 해지 시 기여금 전액 환수되며, 3년 미만 해지 시 이자 비과세 혜택도 사라집니다.
A. 네. 만기 후 병역·소득 기준만 충족하면 신청 가능합니다. 단, 만기월 다음 달 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A. 신청기간을 놓치면 다음 차수로 넘어가며, 계좌 개설이 1~2달 지연되어 기여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A. 네. 만기 유지 시 이자소득 비과세가 적용되어 세금 없이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만기 전 해지 시 기여금 전액 환수됩니다.
신청 시 기간·자격 기준을 꼭 다시 확인하세요.
🎯 마무리 한마디
결국, 2025년 7월 청년도약계좌는 병역 이행자에게는 더 유리한 선택입니다. 시간이 금이니까 지금 바로 신청해서 이자·기여금·세금 모두 챙기세요. 신청 안 하면 분명 손해예요. 알았을 때 바로 실행하는 게 진짜 이득입니다!
'정부정책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사업자 대학생 문화비소득공제 신청하는 법, 받는법, 현금영수증 꿀팁! (2) | 2025.07.08 |
---|---|
2025 청년기본소득 3분기 신청·지급일·소멸일자까지 놓치면 연 100만원 손해 (2) | 2025.07.08 |
7월 청년도약계좌 자격조건·소득조건·신청기간 놓치면? (2) | 2025.07.04 |
2025 청년도약계좌 7월 신청기간·방법·대상, 지금 놓치면 손해! (0) | 2025.07.04 |
서울 시니어 일자리 신청방법 노인 일자리 꿀팁 까지 (3) | 2025.07.03 |